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으로, 1920년부터 1926년까지 리투아니아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신학을 공부했으나 농업으로 전향하여 농업 관련 저술 활동을 했으며, 리투아니아 기독교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에 서명하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공화정을 옹호했다. 1926년 쿠데타로 축출된 후에는 소련에 체포되어 굴락에서 옥살이를 했으며, 196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우라게주 출신 - 카롤리스 바우자
카롤리스 바우자는 리투아니아의 유도 선수이며, 200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09년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09년 유럽 U23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9위를 기록했다. - 리투아니아의 반공주의자 -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음악학자로, 사유디스 창립 멤버로서 1990년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선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조국동맹을 결성하고 세이마스 의장과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하는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리투아니아의 반공주의자 - 안타나스 스메토나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였던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망명으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
원어 이름 | Aleksandras Stulginskis |
로마자 표기 | Aleksandras Stulginskis |
출생일 | 1885년 2월 26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코브노 현 쿠탈리아이 |
사망일 | 1969년 9월 22일 |
사망지 | 소련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우나스 |
국적 | 리투아니아 |
정당 | 리투아니아 기독교 민주당 |
서명 | Aleksandras Stulginskis parašas.svg |
직책 | |
재임 시작 | 1920년 6월 19일 |
재임 종료 | 1926년 6월 7일 |
전임자 | 안타나스 스메토나 |
후임자 | 카지스 그리니우스 |
권한대행 시작 | 1926년 12월 19일 |
권한대행 종료 | 1926년 12월 19일 |
권한대행 전임자 | 요나스 스타우가이티스 |
권한대행 후임자 | 안타나스 스메토나 |
의장 재임 시작 | 1920년 5월 15일 |
의장 재임 종료 | 1922년 10월 6일 |
의장 전임자 | 가브리엘레 페트케비차이테-비테 (대행) |
의장 후임자 | 레오나스 비스트라스 (세이마스 의장) |
기타 | |
관련 사건 | 1926년 리투아니아 쿠데타 |
2. 초기 생애와 교육
카우나스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교에서도 신학 공부를 이어갔다.[2] 그러나 결국 성직자의 길을 포기하고 독일의 할레 대학교 농학부로 옮겨 농업을 공부했으며, 1913년에 졸업했다.[2]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농학 연구를 마치고 리투아니아로 돌아왔다. 이후 리투아니아 중앙위원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부총리, 내무장관, 농업장관을 역임했다.[2] 1920년 6월 19일 리투아니아 제헌 의회의 의장 겸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2] 1922년 재선되어[2] 1926년까지 리투아니아 공화국 대통령으로 재임했다.[2] 1926년 6월 7일 임기가 만료되어 카지스 그리뉴스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었다.
1926년 12월 17일 카지스 그리뉴스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사임하자, 후임 대통령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스툴긴스키스가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게 되었다.[2] 그러나 불과 이틀 뒤 안타나스 스메토나가 일으킨 쿠데타로 인해 권좌에서 축출되었다.[2] 이 쿠데타는 당시 발전하던 리투아니아의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927년 정계에서 은퇴하여 리투아니아 서부에 있는 자신의 농장 경영에 전념했지만, 때때로 발언하여 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2] 1941년 6월[2]에 아내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 인민 내무부에 체포되었고, 아내는 코미 공화국으로 이송되었지만 스툴긴스키스는 크라스노야르스크의 굴락으로 이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2년, 그는 "전전 리투아니아에서의 반 사회주의자와 성직자 정책"이라는 명목으로 소련으로부터 2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41년 6월[2] 스툴긴스키스는 아내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 인민 내무부에 체포되었다. 아내는 코미 공화국으로 이송되었고, 스툴긴스키스는 크라스노야르스크의 굴락으로 보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2년, 그는 “전전 리투아니아에서의 반 사회주의자와 성직자 정책”을 이유로 소련 당국으로부터 2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대통령으로서 근면했고, 정치적 야심은 겸손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
1924년 농업 아카데미 설립에 참여했으며, 그의 공로를 기려 사후인 2011년 6월 리투아니아 농업대학교가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대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3] 같은 해 스툴긴스키스에게 상장이 수여되었다.[5]
[1]
웹사이트
Seimo Pirmininkai - 1920–1940 m. Seimo Pirmininkai
https://www.lrs.lt/s[...]
Lietuvos Respublikos Seimas
2020-02-10
3. 독립운동과 정치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빌뉴스로 이주하여 리투아니아 기독교 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 1917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의장을 역임하며,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리투아니아의 국가 승인을 요청하는 각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당시 다른 정치인 안타나스 스메토나와는 달리 연합국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 같은 해 빌뉴스 회의를 주최한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리투아니아 평의회 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2]
1918년 2월 16일, 리투아니아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2] 그는 공화주의자로서 리투아니아가 민주 공화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군주제나 왕정복고 시도에는 강력히 반대했다. 독립 직후에는 리투아니아 국군 편성에 힘쓰며 볼셰비키와 폴란드의 침공에 대비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부총리, 내무장관, 농업장관을 역임했으며, 1920년부터 1922년까지는 리투아니아 제헌 의회 의장 겸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2]
이후 1922년 정식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26년까지 재임했다. 1926년 카지스 그리뉴스에게 대통령직을 넘겼으나, 그 해 12월 쿠데타로 그리뉴스가 사임하자 잠시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기도 했다. 쿠데타 이후 세이마스 의장으로 선출되어 1927년 4월 세이마스가 해산될 때까지 직을 유지했다.[2]
4. 대통령 재임 (1920-1926)
5. 실각과 이후의 삶
쿠데타 이후에도 스툴긴스키스는 세이마스 의장에 선출되어 1927년 4월 세이마스가 해산될 때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2] 1927년 정계에서 은퇴하여 리투아니아 서부에 있는 자신의 농장 경영에 전념했다.[2] 정계를 떠난 후에도 때때로 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발언을 이어갔다.[2]
1941년 6월, 소비에트 연방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한 후 아내와 함께 인민 내무부(NKVD)에 체포되었다.[2] 그의 아내는 코미 공화국으로 이송되었고, 스툴긴스키스는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굴라크(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2]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52년, 소련 당국은 그에게 "전쟁 전 리투아니아에서의 반(反)사회주의 정책과 성직자 정책 가담"을 이유로 25년의 징역형을 선고했다.[2]
스탈린 사후인 1956년에 석방되었고,[2] 해외 망명을 허가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리투아니아 SSR로 돌아왔다.[2] 이후 남은 생을 카우나스에서 보내다가 1969년 9월 22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그는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에 서명한 인물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2]
6. 소련 점령과 투옥
1956년에 석방되었고,[2] 출국을 허가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돌아왔다.[2]
7. 사망과 유산
1956년에 석방되었으나,[2] 해외 망명을 거부하고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남은 생애를 카우나스에서 보내다가 1969년 9월 22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그는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에 서명한 인물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24년 그가 설립에 참여했던 농업 아카데미의 후신인 리투아니아 농업대학교는 2011년 6월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3]
8. 평가
9. 상훈
참조
[2]
백과사전
Stulginskis, Aleksandras (1885–1969)
Scarecrow Press
2011
[3]
웹사이트
History
https://zua.vdu.lt/e[...]
2019-10-26
[4]
문서
리투아니아 국회가 "리투아니아 공화국 대통령"의 칭호를 수여
2009-03-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으로 표기
[5]
뉴스
Ehemaliger Präsident Litauens wird geehrt
http://www.naumbu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